스펀지2.0 방송 내용에 대한 식품업계 세부 의견

방송일

주 요 내 용   및   의

7.19

244

가짜의 세계

07년 중국의 가짜계란 소동

가짜계란 제조시 사용되는 백반은 알루미늄을 축적시켜 정신상태를 약화시킴 [호서대 식품영양학과 정혜경 교수]

전문가를 활용하여 축적량 및 기간에 대한 언급 없이 최악의 상태를 언급함

9.6

249

가짜

중국의 가짜 쇠고기 뉴스 보도 및 가짜/진짜 쇠고기 굽기 실험

● 가짜쇠고기 만들기 실험(옥수수, 밀가루, 햄, 식용색소), 가짜소주 한이슬(알코올함유 45%), 참일슬 소개

9.20

251

가짜 식품들

가짜 계란 vs 진짜 계란 가짜 쇠고기 vs 진짜 쇠고기 비교실험

가짜 소주 (참이슬, 참일슬), 가짜 양주 시음

10.04

253회

 

멜라민

싼류분유, 일반분유 성상 및 맛과 관련한 비교실험

● 분유 먹은 아이의 무소변, 혈뇨, 원인모를 유아사망의 원인인 멜라민      이 한국에서도 검출됨 (해태 미사랑 멜라민 등), 멜라민 위해 섭취수준 보도

⇒ 다른 식품관련 내용에 비하여 멜라민의 위해 섭취수준을 커피4000      잔 등의 가늠할 수 있도록 표현한 것은 권장되어야 함

10.18

254회

 

식품첨가물

탄산음료 안에 5분

옷이 염색된다

타르색소

멜라민 이후 "식품첨가물의 공포"로 식품첨가물을 소개하여 식품사       고와 같은 위험수준으로 첨가물에 대해 인식시킴

● '독성 없는 약은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약은 독이다. 약과 독은 용량       의 차이일 뿐이다' 멘트 후 식품첨가물을 언급하여 시청자들로 하여금 독과 식품첨가물을 연상시켜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줌

타르색소의 원료 및 타르색소 염색실험 및 오렌지맛 색소의 타르 함      량 의뢰

- 오렌지맛 탄산음료로 옷, 단무지 염색,

- 식약청에 타르색소 함량 의뢰,황색5호 9.75 mg

   [식약청 문귀임 연구관]

오렌지맛 탄산음료 15개 이상 섭취시 위험[환경정의 소혜순 의원]

천연 색소 또는 천연물로도 염색 가능하나 언급하지 않음

(예: 시금치 물로 염색가능, 잔디밭에 앉기만 해도 옷에 물이 듬)

장기간 과량복용시 위장기능 저하, 간, 콩팥 손상, 혈소판 감소

[관동대 가정의학과 오한진 교수]

전문가를 동원하여 비구체적인(장기간, 과량복용) 정보로 불안감을      조성함

10.25

255

알아야 산다

식품첨가물

커피 크리머의비밀(유화제)

커피크리머는 100% 합성착향료로 만들어짐

● 커피크리머 제조실험(젤라틴, 쇼트닝, 유화제, 카제인나트륨, 카라기난  등 혼합)

● 아이스크림을 가열하여 악취원인이 유화제로 부정적으로 인식시킴

태안반도의 기름 유출시 뿌린 공업용 유화제 영상을 반복 방영하여 시청자로 하여금 아이스크림의 유화제와 동일시하는 오인혼동을 유발시킴

아이스크림의 경우 위해성과 상관없는 불필요한 과정(끓이기 비교)      을 연출함

11.01

256

식품첨가물

백화점 햄:아질산나트륨

● 아질산나트륨은 유독물질로 치사량 175mg, 장기간 섭취 시 호흡곤란, 빈혈, 구토를 유발함

독성이 강한 청산가리와 비교 시 '20배 밖에' 차이 나지 않음 vs 외국과의 기준치 설정에 대한 내용 설명 시 '15배나 차이남'과 같이 편파적인 표현 사용

● 햄 만들기 및 아질산나트륨의 보존성 실험(시료조건이 동일하지 않음)

⇒ 무첨가 제품은 얇은 햄(공기 접촉면이 많아 수분감소 및 상할 우려가 높음)을 사용하는 등  실험의 기본인 대조군이 올바르게 설정되지 않음

⇒ 아질산염 확인실험에서 더러운 물과 햄이 같이 비교되어 더러운 제품처럼 방송됨 (수조의 물은 유기산 때문인데 아질산염이 이유인 것처럼 방영)

⇒ 저감화를 위하여 데쳐서 먹는 대안을 제시해 준 것은 시청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바람직한 내용임

11.08

257

혼합간장:산분해간장

간장의 진실 메주로 만든 간장이 없다

혼합간장만들기 실험(염산,보존료,탈취제) = 산분해간장+식품첨가물+양조간장

⇒ 탈지대두에 대한 설명을 '콩 찌꺼기' 라는 편협한 시각의 표현을 사용하며, 콩이 들어가지 않았다고 주장 하지만 탈지대두도 콩의 일부분임

⇒ 식용염산이라고 자막이 나가긴 했지만 염산은 제조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물질이며, 최종 제품에는 잔류되는 것이 아님을 언급할 필요 있음

산분해간장 제조실험시 9가지 화학물질로 만들었다고 하는데, 여기에는 탈지대두, 물, 물엿, 식초 등 화학물질이 아닌 식품도 포함됨

해결책 제시 없이 문제제기만 함

벤젠:비타민c+안식향산나트륨

드링크제의 비타민c와 보존료가 결합하여 발암물질인 벤젠 생성

⇒ 식품에는 매우 극미량 함유되어 있으나, 벤젠의 위해성부터 알리기 위해   자극적인 장면부터 방송함

⇒ 안식향산도 천연으로 유래되나 인위적으로만 묘사되고, 벤젠의 경우 생활주변(대기, 수질 등)에서도 쉽게 노출되는 위해물질이라는 것도 함께 언급할 필요 있음

⇒ 기준과 관련하여 10ppb가 기준치인데 0.007ppb라도 검출만 되면 위험한 것처럼 표현하고 EU기준인 1ppb도 섭취량 기준이 아닌데 10병이라 하고, 검출한계이하 수준의 결과 값(0.06 -> 0.07ppb)으로 증감을 논하며 유의적 차이처럼 표현한 것은 잘못된 내용으로 수정이 필요함

11.15

258

식품첨가물

합성착향료

딸기맛 우유에 딸기가 없다,

맛, 향에 대하여 법적기준을 준수하여 사용한 표시인데 마치 업체가 법을 위반하면서 소비자를 속인 것 같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음

● 딸기우유 만들기 실험

합성착향료 인화실험

향료제조시 주정이 대부분 사용되므로 불 붙는것은 당연한데, 위해성이 있어서 불이 붙는 것처럼 오인 혼동이 우려됨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결과 없이 '위해성 있을 것이다'라는 의견제시는 부적절

11.22

259

식품첨가물

아황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위해성 및 아황산나트륨을 사용한 청바지 표백실험

아황산나트륨 첨가/무첨가한 건조과일 만들기 실험

● 포도주에 아황산나트륨이 함유되어 4잔 이상 마실 경우 기준치를         초과

80년대 천식환자 등 민감성환자 사망사고[인하대 산업의학과 임종한교수]

나무젓가락의 함유된 아황산나트륨으로 작은 물고기 사망 실험

패널: ICOOP생협 현승은, ICOOP부천시민생협 김종실 상임위원장

식약청 첨가물과 박혜경 과장, 신흥대학 식품영양학과 김영성 교수

⇒ 천식등 지병이 있는 특수한 경우의 사망사고와 물고기 사망실험 방영은 소비자로 하여금 아황산나트륨의 위해성에 대해확대 해석토록 유발함

11.29

260

식품첨가물

감미료

무설탕의 함정

37

감미료종류 나열 및 감미료 종류 및 용도 설명 (icoop 김종실 실장)

아스파탐 설탕의 200배 당도 비교/ 무설탕 탄산음료 만들기 실험

- 사이다향 합성착향료 넣어서 만듬, 무설탕, 설탕음료 구분하기[당도11.4%]

설탕과 당도비교_인공단맛 체험하기실험

- 액상과당6배,솔비톨 .5배,스테비아300배, 사카린500배, 도오마틴8,000배

제로칼로리의 설탕음료 칼로리(설탕,아스파탐 4kcal/1g )

 - 2kcal인데 0kcal로 표시(박혜경과장 식품등의표시기준 설명)

비만감소의 유효성효과 재검토 사례_윤장봉의사 대한비만체형학회

감미료식품을 먹어도 살찐다 인공감미료섭취인구 2배, 비만인구 2배 증가

미국 퍼듀대학 행동신경과학 저널 인공감미료 먹은 쥐의 체중증가

혀를 속여도 뇌를 속이지 못해 우리 뇌의 경우, 당도 감지 후 열량을 예상하나 열량이 낮으므로 더 섭취하여 부족한 열량을 충족시키려 함

_동물실험대상 연구, 맹신은 생각해봐야한다

과거식품이슈_가짜 쌀막거리(중국산 사카린첨가),중국산 사탕 싸이클라메이트

인공감미료의 위해성 논란_사카린나트륨

쥐실험_사카린은 먹지 않는다 (설탕, 사카린)

인하대 산업의학과 임종한교수, 꿀벌-사카린, 독성물질신경계독성발암물질, 동물실험에 암 유발, 체내 사카린은 신장결석 유발, 임신부 아기의 방광암 위험율 증가, 임신부 어린이 사카린 섭취금지

●인공감미료의 위해성논란_솔비톨 [국내최다사용_사탕,과자,젤리,무설탕껌,쨈]솔비톨 인체영향 무해하다고 알려짐, 장내흡수안되 삼투압 증가로

설사유발 복부팽만 경련 복통, 20g이상은 설사, 체중감소

솔비톨 당뇨환자에게 추천, 과량섭취 금지, 노인, 어린이 주의

영국의학저널, 무설탕껌 설사,복통,체중감소 무설탕껌 20개(껌1개, 솔비톨1g)

인공감미료의 위해성논란_아스파탐

비타민제, 과자(고래밥),다이어트음료(코카콜라),유해성논란

2005, 미 국립보건원, 쥐대상 아스파탐실험결과 잠재적 발암물질

식약청 박혜경박사 일일허용섭취 이하섭취_콜라캔 하나 43mg,

40mg/1kg 하루 2400이하 무설탕캔 55~60개, 페닐케논뇨증환자 섭취금지

-----------------------------------------------

사카린 안전성평가결과, 미 사카린 식품첨가물로 인정, 발암물질이 아님을 확인 사용기준에 맞게 사용할 것 보건산업진흥원 최성희박사

건강한 식습관_ 인공감미료 첨가식품보다는 편식않는 자연식품 섭취할 것 경북대 치의대 최재갑 교수

12.06

261

식용유의 비밀

● 휘발성 물질(N-헥산)로 만드는 식용유, 콩기름 식용유를 대두로 압착해서 만들지 않고 휘발성 물질인 헥산으로 추출함

고려대 김인환교수, 헥산의 휘발성실험, 헥산의 기름세척, 유성잉크 등 용도설명

콩기름 만들기 실험

헥산, 가성소다, 산성백토 등을 사용하여 정제과정 20회 거쳐 만듦

충남대 신정아 박사, 압착콩기름, 추출콩기름으로 계란후라이 실험

핵산의 유해성 및 식용유지의헥산 잔류량 분석

-2005년3월 태국여성 하반신마비 등 헥산에 장기간 노출시 신경계이상, 사지 감각 둔하, 호흡곤란 발생 인하대 임종한교수

-10개 식용유, 분석결과 헥산의 기준치 이하임

-헥산은 콩기름에 사용하는 추출용매로 제거가 쉽고 세계적으로 사용하며 기준치의 만분의 일로 미량 검출됨 동국대 신한승 교수

참기름 속 발암물질

-07년 47개 제품 벤조피렌 검출 2~15ppm(기준치 2ppm)

-벤조피렌 암 유발물질(쥐를 이용한 발암실험)

-참기름 볶음(100, 180℃)실험_맛, 색, 양 등

-식용유지의 벤조피렌 함류량 검사_11개 제품 중 5개 미량검출

-대상의 참기름 긴급회수(08년 12월)

가공된 고체기름 쇼트닝

-트랜스지방 유해성 보도( 05년 5월 트랜스지방 5g이상 섭취시 위험)

12.13

262

과일통조림의

비밀

귤통조림 만들기

- 당액, 1% 수산화나트륨, 구연산, 식용염산

⇒ 묽은 염산임에도 불구하고 염산(강산)의 위해성을 부각시킴

(염산에 계란넣기, 대리석에 염산뿌리기 등)

귤쥬스, 복숭아통조림 만들기

- NaOH(양잿물)의 위해성 부각

⇒ 식품에 사용되는 NaOH는 묽은 농도임에도 불구하고 위해성이 양잿물과 같게 인식되도록 방송함

- 충남대 식공과 교수 식약청, 한상배연구관의 표시사항 설명

⇒ 식약청 담당자라면 표시설명 뿐만 아니라 제품의 안전에 대한 설명이 필요함

통조림 완두콩에 합성착색료 및 완두콩밥 실험

과일통조림 안전하게 먹는 법 설명

12.20

263

설탕의 진실

카라멜색소 흑설탕

몸에 좋다고 알고있는 흑설탕에 식품첨가물이 첨가되어 조리식품의 풍미나 색감을 좋게함 [세종대 김용휘교수]

흑설탕 만들기 실험, 천연흑설탕(원당100%)과 비교실험

백설탕+당밀+카라멜색소(천연색소,설탕탄화농축물)

⇒ 카라멜색소의 항체독성이 부각됨백혈구와 림프구 수 감소(1992,NIH)

식품별 설탕함량비교

오렌지주스1캔(20g),콜라1캔(30g),이온음료 1Pet(39g)

⇒ 설탕은 저혈당, 비만, 동맥경화, 심장질환의 원인으로 표현

설탕의 중독성 동물실험: 설탕물과 견과류(쥐먹이)주고 실험

당도 때문에 설탕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이나 설탕의 중독성(도파민)으로 묘사 설탕 중단시 약물금단현상. 설탕이 아이의 과잉행동장애 유발한다고 과장보도

케찹만들기 실험(케찹의 25% 설탕임)

설탕다량식품 순위:시리얼,초코파이,아이스크림, 케찹, 콜라

당다량함유식품 :자장면탕수육, 햄버거, 피클, 생크림케익1조각, 바게트,이유식 시리얼(아침),햄버거(점심),자장면탕수육(저녁) 일일당섭취량 3배

당분을 줄이는 생활습관: 조청사용, 오곡밥, 폭식예방, 과일 먹기

12.27

264

껌의 비밀

껌의 재료

- 식품첨가물 타르색소, 합성착향료(고인화성물질), 유화제,껌 베이스 초산비닐수지[신흥대학, 김영성교수], 페인트, 접착제성분

⇒ 당신은 석유를 씹고 있다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멘트

껌(100%식품첨가물 덩어리) 만들기 실험

- 껌베이스90g, 설탕 188g, 물엿 28g, 아스파탐 0.2g, 청색1호색소 3g,합성착향료3g, 유화제 5g ⇒ 설탕, 물엿도 첨가물로 치부함

초산비닐수지

- 석유에서 합성된 화학물질,인화성,유독물질이나 초산비닐수지는 인체무해함

- 초산비닐은 유독성으로 잔류시 유해함, 발암가능성, 생식기독성물질

- 일본이외에 초산비닐기준 없으며 국내기준 없음, 풍선껌 초산비닐수지100%

합성착향료

- 인화성 물질위해. 껌에 향료는 다른 식품의 10배 함유됨

- 매일 한통씩 씹으면, 1년에 63g 향료섭취

- 수백 개의 화학물질 포함, 환경호르몬, 검증 안 된 발암성

어린아이가 껌을 삼키면 문제됨 [분당서울대병원 이동호교수]

자일리톨(화학식품첨가물)의 실체

- 자작나무에서 추출하여 수소첨가반응으로 얻어진 공산품

- 충치효과 미비, 자일리톨 함량 100% 껌이 충치예방효과(EFSA)

자일리톨 껌 만들기

- 자일리톨, 솔비톨, 합성착향료, 껌베이스, 유화제

껌의 충치효과_플라그염색 실험[단국대 신승철 교수]

- 플라그 제거 효과 적음, 껌이 양치질을 대신할 수 없음

- 자일리톨 60% 이상이 되어야 충치예방에 도움이

 1.3

265

두부의 진실

GMO

39

두부에 사용되는 첨가물

- 실리콘소포제, 화학응고제, 유화제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두부 만들기(재래식 및 포장두부)

- 재래식 두부: 천연간수, 참기름 사용/가공두부:화학응고제, 실리콘소포제 사용

⇒ 간수의 성분도 첨가물의 성분과 같은 성분이라는 중립적인 정보전달 필요

화학응고제(황산칼슘 등) 및 소포제(규소수지, 실리콘수지)

- 함량기준 없으며 과다섭취시 과칼슘혈증, 호흡장애, 구토, 심장장애 등

- 실리콘 소포제 거품제거실험, 참기름/실리콘소포제 거품제거 비교

- 소포제 거품제거 원인은 표면장력증가[부경대 양지영교수], 소포제 미약한 독성

중국산 불량두부 이슈(2007년, 석고 첨가 및 불결한 제조현장)

유전자조작식품 GMO

- 2002년 유전자조작식품 이슈(슈퍼미꾸라지, 유전자조작 소, 유전자조작 콩)

- 유전자재조합 옥수수 살충성분 실험 (GMO옥수수 쥐에 콩팥, 혈액이상)

- 두부 14개 가공식품 5개 GMO검사결과 두부 불검출, 가공식품(도넛,만두,소시지,과자) GMO성분 검출되었으나 GMO표시 없음, 유럽은 표시되나 국내 표시 없음

- GMO콩 재래식콩 가격비교

장기간 섭취시 인체유해성 우려된다는 정보만 전달 [원광대 김은진교수]

- GMO섭취한 사람의 장에서 GMO유전자 발견

러시아 쥐실험(저체중, 사산), 장기적 실험 통한 안전성확인 필요

- 유럽(선진국)과 비교한 GMO표시제, 비의도적혼입 비교

⇒ 유럽이외의 미국이나 일본의 완화된 제도는 소개하지 안고, GMO의 인체무해하다는 과학적실험은 배제한 채 단편적인 정보만이 전부인양 방송함

1.10

266회

빵의진실

빵에 들어가는 식품첨가물(기본재료 외의 합성첨가물)

- 유화제, 산도조절제, 밀크에멀전, 엽산분말 등

식빵만들기 실험(첨가물 식빵/무첨가 식빵)

90년대 수입밀가루의 농약검출 이슈

⇒ 현재 기준치이하로 관리되고 있는 농약에 대해서 과거이슈로 불안감 조성

수입밀에서 개미사망 실험

- 수입물의 포스트하비스트처리 등으로 위해성의 의심됨

⇒ 정확한 사인이 밝혀지지 않은 것을 수입밀의 위해성이라 가정해서 설명함

수입물의 글루텐

- 밀가루의 단백질 글루텐 함량이 많은 강력분, 글루텐 성분으로 알레르기를 포함해 각종 질환에 걸린다는 등 유해성 보도

⇒ 글루텐의 알러지(씰리악)는 유럽계에서 보이는 특정질환으로 아시아계에서는 단한건의 발생보도가 없으나 누구나 걸릴 수 있다는 식의 어조로 공포감 유발

도넛의 식품첨가물, 설탕 과량함유

트랜스지방의 위해성 및 수입도넛의 트랜스지방 함량 초과

⇒ 국내기업의 트랜스 지방 저감화 보도는 업계의 위해물질 저감화 노력을 보여주는 긍정적인 측면이었음

1.17

267회

단무지의 진실

● 식품첨가물로 절인 단무지로 소개

- 소금, 사카린, 빙초산, 사과산, 포도당, 치자황색소, 소르빈산칼룸, 구연산, MSG, 아황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염화칼슘 등 13가지 첨가물 포함

● 무첨가 단무지 및 첨가물 단무지 만들기 비교 실험

- 무첨가 : 식초,설탕,소금을 물에 녹여 절인 무

- 첨가물단무지 : 소금 및 식품첨가물 등 13가지 조미액의 무

⇒ 첨가물단무지는 소금이 많더라도 사카린, MSG로 혀가 짠맛을 느끼지 못하도록 한다인터뷰는 마치 염도를 낮게 하려는 속임수로 느껴짐

● 식초와 빙초산 비교

- 빙초산은 석유에서 추출하여 화학약품처리 후 만든 화학물질

⇒ 빙초산의 발화실험 및 빙초산 화상사건, 빙초산 복용 후 신장장애 및 사망할 수 있으며 시폭장애 현상, 발암성을 언급 등 소비자로 하여금 위협적으로 느껴짐

● 식품첨가물의 실체, 첨가물은 마법의 가루로

- 인간이 만든 위대한 속임수 식품첨가물(일본 아베 저서) 소개

- 폴리인산나트륨(무의 탄력을 높임)에 절인 무/ 소금에 절인무 비교

- 염화칼슘은 아삭하게 만들어주는 속임수, 습기제거 및 도로제설작업에 사용

- 치자황색소의 안전성과 관련하여 치자황색소 추출시 유해물질 첨가로 일부 동물 실험시 간독성이 있을 수 있다고 언급

- L-글루타민산나트륨(MSG) 섭취시 신경막세포 손상 및 이상작용, 두통, 호흡곤란호소, 중국음식점증후군 용어도 있음

- FDA는 MSG를 1일0.5g섭취시 안전하다고 인정하였으며 한국인은 40배  초과섭취하며 비만과 체중과 관계(미국연구재료)성 인정

● 첨가물 속 단무지가 안전한가

- 식품규정에 맞게 사용되어 독성평가를 충족시 안전하다고 생각되나 여러 식품 첨가물이 동시에 투여될 경우 인체영향에 대한 충분한 검토 필요

-김밥: 햄 최대15가지, 게맛살 최대 15가지, 단무지 14개 총 43개 식품첨가물

-단무지를 찬물에 5분 이상 담그고 깨끗하게 세척하여 조리

1.24

268회

날치알의 비밀

명란젓의

위험한 진실

어묵의 비밀

● 날치알의 색 (노란색, 녹색, 붉은색)

- 시중의 날치알은 염색시킨 날치알가공식품으로 합성감미료, 합성조미료가 첨가됨

- 날치알보다 열빙어알(저가)의 함량이 더 많다

날치알의 속임수라는 표현은 의도적으로 악의를 가지고 하는 뉘앙스를 풍김

● 명란 (명태알)젓의 비밀

- 9가지 식품첨가물(소금, 설탕, 아질산나트륨, 솔비톨, 소르빈산칼륨, 아스코르브산, L-글루타민산나트륨, 홍국적색소)

소금, 설탕은 식품으로 분류되어 있음, 방송중반에 7가지 식품첨가물로 정정함

⇒ 첨가물을 넣는 장면에서 기준 없이 털어 넣는 영상으로 소비자가 첨가물을 기준 없이 넣는다는 오해의 소지가 있음

- 아질산나트륨은 강력한 발암작용으로 간암 등 암 발생 증가시킨다고 함

- 식품첨가물로 절여진 명란젓, 기준에 맞도록 첨가물이 사용되더라도 칵테일효과 위해성 우려됨

- 명란젓과 김치를 함께 먹으면 발암물질[니트로소아민] 생성 백남선교수 건대병원

cf) 군지카지오의 식품의 흑마술, 와타나베유지의 식품첨가물사전

● 어묵의 비밀

- 시중의 어묵을 요오드 용액의 담궈 검게 변하는 영상 공개(혐오감을 줌)

- 어묵 속 솔비톨, 탄산칼륨, L-글루타민산나트륨, 소르빈산나트륨 들어감

- L-글루타민산나트륨 미각을 둔화시키고, 뇌손상, 성장장애, 비만과도 관련 있는 식품첨가물임

MSG, 아질산나트륨 등 위해성논란이 있는 것을 위해하다고 단정하여 보도함

- 어묵(소르빈산)과 햄(아질산염)을 함께 먹으면 발암물질(에틸니트릴산) 생성

cf) 새로운 패널: 김혜영교수(용인대 식영과), 백남선교수(건대병원)

자료: 한국식품공업협회/식품저널





posted by 식품저널